안녕하세요!
가려운곳 시원하게 입니다.
오늘은 정부와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청년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양한 제도를 한대 모아봤으니 목차 확인하시고 본인이 알고자 하는 정보 확인해 주세요^^!!
- 목 차 -
1. 청년내일채움공제
2. 청년구직활동지원금
3. 국민내일배움카드
4. 광역알뜰교통카드
5. 청년도약계좌 5천만 원 만들기
6. 군장병 급여인상 및 장병내일준비적금
7. 청년도전지원사업
1. 청년내일채움공제
2년 동안 400만 원을 적금하면 1200만 원 + 은행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본인이 해당된다면, 신청 안 할 이유가 없습니다. 무적권 해야죠 ㅎㅎ
정부 400만 원 기업 400만 원씩 분담하여 지원금을 지급해 주는 구조입니다.
대상은 제조, 건설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만 15세 ~ 35세의 청년이면 신청가능합니다!
신 청 : 청년내일채움공제 (work.go.kr)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참여!! 청년은 장기근속과 목돈마련의 기회를, 중소기업은 우수인재 확보와 고용유지의 기회가 됩니다. 사업소개 바로가기
www.work.go.kr
2. 청년구직활동지원금
기존 청년구직촉진수당에서 내용을 보완하여 청년구직활동지원금으로 재탄생했죠.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취업준비에 좀 더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생활비, 학원등록, 자격증 취득 등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월 50만 원씩 6개월 동안 총 3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대 상 : 만 18세 ~ 34세 미취업자
자격조건 : 기준중위소득이 120% 이하 / 졸업, 중퇴 후 2년 이내인자
신 청 : 온라인청년센터 (youthcenter.go.kr)
온라인청년센터
www.youthcenter.go.kr
3. 국민내일배움카드
국민 스스로 직업능력 개발이 가능하도록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로서 취업준비, 이직 희망자, 은퇴 후 제2막을 준비하시는 분 등 대부분의 국민들이 가능합니다.(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등 일부 제외)
지원금액 : 300만 원(최대 500만 원) 5년 경과한 금액은 소진됨.
사용처 : 취업 관련 교육비, 자격증 취득 관련 비용 등
신청 : 직업훈련포털 HRD-Net
직업훈련포털 HRD-Net
오늘도 더 성장할 나를 위한 직업훈련 지식포털 안녕하세요. 로그인을 해 주세요. 로그인 간편인증 로그인 개인 기업 회원가입
www.hrd.go.kr
4. 광역알뜰교통카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를 카드 마일리지로 적립하여 지급하는 제도로 최대 30%까지 대중교통 이용료를 아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가. 사용방법
1) 카드 발급 후 스마트폰으로 앱을 다운로드하기
2) 도보나, 자전거 이용할 때 '출발'버튼, '도착'버튼 눌러주기
3) 해당 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나. 주의사항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마일리지가 지급됨. 최대 44회까지 적립
다. 신 청 : https://www.alcard.kr/
알뜰교통카드
출근은 편하게 ! 교통비는 가볍게!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로 더 알뜰하게 !
www.alcard.kr
5. 청년도약계좌 '5천만 원' 만들기
개인 조건에 맞게 월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까지 총 5년 동안 모으는 적금방식입니다.
가. 대 상 : 만 19세 ~ 만 34세 이하의 청년
나. 출 시 : 2023년 6월 예정
다. 조 건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하
라. 특 징 : 이자소득 비과세, 납입금에 비례하여 정부지원금 3 ~ 6% 추가 지원
※ 비과세 상품이 아닌 경우 이자에 대한 15% 정도의 소득세를 따로 내셔야 됩니다.
6. 군장병 급여인상 및 장병내일준비적금
23년 병장 기준 월급이 100만 원 시대가 왔습니다!!
이 병 | 일 병 | 상 병 | 병 장 |
60만원 | 68만원 | 80만원 | 100만원 |
이제는 본인이 어느 정도 용돈으로 쓰고도 남을 정도에 월급이 된 것 같아 기분이 좋네요ㅎㅎ
정부에서는 25년까지 병장 기준 200만 원까지 인상한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시)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사회로부터 약 2년 동안 단절되어 국방의 의무를 다하고 오는 자랑스러운 청년들이 군제대 후 사회에 발 빠르게 적응하게 돕기 위한 적금제도입니다.
가. 대상 : 국방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 모든 병역이행자
나. 가입한도 : 최대 40만 원
다. 가입기간 : 최소 6개월 ~ 최대 24개월
군 입대를 앞둔 독자님들의 경우 미리 확인하셔서 군생활을 하면서 모은 목돈으로 제대 후 등록금, 취업준비 등에 사용할 계획을 세워보시길 추천드립니다.
7. 청년도전지원사업
취업난 속에서 의욕을 상실하거나 포기한 청년들에게 지자체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취업에 대한 의욕을 다시 충전시켜주는 제도입니다.
대상
구직단념청년
자립준비청년
청소년쉼터입퇴소청년
북한이탈청년
지역특화선별청년
지원금액 : 50만 원 ~ 300만 원
청년도전지원사업
(지역특화) 공통요건 충족이 어려운 청년이라도 지원의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받은 청년(단, 지자체별 지역특화 기준은 다를 수 있음) * 지역특화 예시 : 보호시설(보육원, 보호관찰소 등) 독립 후
www.work.go.kr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라의 주역인 청년들의 발돋움을 위한 각종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이 해당되는 제도가 뭐가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시고 신청하셔서 적기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
이만 줄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명언
"가장 위대한 영광은 한 번도 실패하지 않음이 아니라 실패할 때마다 다시 일어서는 데에 있다."
- 공자 -
'경제, 이슈, 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더내는 이유 확인하기, 산정하는법 (0) | 2023.02.25 |
---|---|
신경쓰기 싫은 카카오톡 단톡방 몰래나가기 법안 발의 (0) | 2023.02.24 |
2023년 출산지원정책 출산지원금 모두 알아보기! feat. 부모급여 부모수당 (0) | 2023.02.09 |
[전세계약 주의사항]전세 확정일자 받는법과 계약서 특약 (2) | 2023.02.06 |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방법, 수거책 공범 처벌?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