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돈이야기

4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더내는 이유 확인하기, 산정하는법

by 가려운곳 시원하게 2023. 2. 25.

 안녕하세요!

가려운곳 시원하게 입니다.

다들 연말정산 잘하셨나요??

저는 작년에 이사를 해서 그런지 올해 꽤 받더라고요 ㅎ

13월의 월급이 실현된 한해였습니다..

뭐 따지고보면 돈을 많이 쓴 거죠 ㅠㅠ

 

 곧 두 번째 연말정산인 4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이 돌아오고 있습니다.

연말정산은 그동안 조금씩이라도 받았지 추가 납입을 한 적은 없었지만,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은 할 때마다 추가 납입을 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은 대부분 매년 토해내고 계실 겁니다.

사회초년생분들의 경우 건강보험 연말정산의 존재조차 모르고 있다가 4월 월급이 다른 달보다 적게 들어온 것을 보고 뒤늦게 알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럼 건보료 연말정산은 왜 하는 걸까요?

 우리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금액을 지불하고 영수증을 확인하면 '자기 부담금''공단부담금'을 보신 적 있을 겁니다.

이때 공단부담금이 우리가 납입하는 건강보험료로 지원해 주는 금액입니다!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이라는 제도로 과도한 의료비 걱정으로 병원 가기를 미루거나 하는 경우가 드물죠.

이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매달 건강보험료를 내고 계신 겁니다.

산출근거는 전년도 월 소득액을 기준으로 우선 부과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올해 받는 월급이 전년도 보다 높다면 연말정산 때 그 차액만큼을 계산해서 추가로 부과하는 방식인 겁니다.

보통 해가 바뀔 때마다 월급도 조금씩 오르기 때문에 건강보험료를 매년 토해내게 되는 것입니다..ㄷㄷ

즉, 건강보험 연말정산 시 금액을 환급받게 된다면 전년도 보다 받은 금액이 줄어든 것입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 / 기준 23.2.25.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부담을 줄이는 방법?

 안타깝지만 그런 방법은 없습니다.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은 일반 연말정산처럼 부양가족, 교육비, 카드사용내역, 의료비 등에 따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본인의 월 소득액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겸허히 받아들이시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한 가지 위로하자면 연말정산처럼 조금이라도 더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 애쓸 필요는 없다는 점입니다.

직장마다 일괄 신고하는 금액으로 자동 계산됩니다.

 

 

 건강보험 연말정산내역 확인하기

왜 내가 이만큼을 더 내야 하는지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www.nhis.or.kr/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1.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보험료 조회/납부 클릭! 들어가시면 본인인증창이 나옵니다!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인증해 주시면 됩니다~

 

 2. 보험료 조회/납부로 들어오셔서 인증을 완료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좌측 중간에 건강보험연말정산내역조회 클릭!

 3. 조회 연도를 선택하시고 '조회' 버튼 클릭.

 4. '조회'버튼 클릭 후 하단에 본인이 받은 해당 연도 연봉과 본인의 보수월액에 따른 정산 건강보험료가 집계됩니다.

정산보험료 앞에 -마이너스가 있으면 환급을 받는 경우이고, 위 사진처럼 되어있다면 추가로 보험료를 내셔야 됩니다.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추가 납입금 분납신청

건강보험 연말정산 후 납입 금액 분납신청 가능합니다! 직장별로 사전 희망자 파악을 할 때 신청하시면 되며, 최대 4개월 이내로 분납이 가능합니다. 별도로 공지가 없을 경우 경리 담당자에게 연락해서 직접 신청해 주시면 됩니다.

 

 오늘은 4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에 대하 미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어차피 내야 할 돈이라면 "내가 작년보다 급여가 올랐구나~ 올해도 화이팅 하자."라고 생각하시고 납부하시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다들 매년 월급이 쑥쑥 올라서 건강보험 연말정산 추가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

 

댓글